새소식

반응형
CS 지식/자료구조와 알고리즘(Java)

[Algorithm | Java] Merge Sort(합병 정렬)

2022.12.28
  • -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merge sorting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정렬 방식들(버블 정렬, 삽입 정렬, 선택 정렬) 은 가장 기본적인 수준의 정렬 방식들입니다.

그러나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좋은 성능은 낼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 개발 시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앞으로 배울 Merge / Quick 정렬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1. Merge Sort(합병 정렬) 이란?

merge sort와 다음 시간에 배울 quick sort가 정렬 알고리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만큼 이전에 배웠던 것들과는 다르게 매우 복잡하게 진행이 됩니다.

 

하나의 리스트를 두 개의 균등한 크기의 리스트로 분할하고 부분 리스트를 합치면서 정렬하여 최종적으로 전체가 정렬되게 하는 방법입니다.

 

2. 개요

  •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현했을 때 이 정렬은 안정 정렬(stable sort)에 속하고,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일종입니다.
  • 이에 대한 내용은 뒤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반적인 과정

  1. 리스트의 크기가 0또는 1이면 이미 정렬된 것으로 본다.
  2. 1번에 해당하지 않고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는 절반으로 균등하거나 비슷한 크기의 두 부분의 리스트로 잘 나눈다.
  3. 각 서브 리스트를 재귀적으로 합병 정렬을 이용해 정렬한다.
  4. 두 서브 리스트를 다시 하나의 정렬된 리스트로 합병한다.

 

다음 그림은 합병정렬의 과정을 도식화 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과정에 대해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3. 합병 정렬의 방식

하나의 리스트를 두 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 리스트로 분할하고 분할 된 리스트를 정렬한 다음, 이 두 정렬도니 서브 리스트를 합쳐서 정련된 전체의 리스트가 되게끔 하는 방법입니다.

 

합병 정렬은 다음의 단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분할(Divide): 입력 배열을 같은 크기의 2개의 부분 배열로 분할합니다.
  • 정복(Conquer): 부분 배열을 정렬합니다. 부분 배열의 크기가 조금 큰 편이라고 생각이 들면 재귀 호출을 통해 다시 분할 정복 방법을 진행합니다.

 

4. 합병 정렬 - Merge Sort

아래 그림처럼 정렬되기 전의 리스트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이 리스트를 크기가 같은 두 개의 리스트로 분할합니다.

 

여기서 이 서브 리스트들을 또 다시 같은 크기의 두 서브 리스트로 분할합니다.

이 과정을 가장 하위의 서브 리스트의 크기가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현재 하위 서브 리스트의 크기는 2이므로 이 과정을 한 번 더 반복해 줍니다.

 

이제 크기가 1인 8개의 서브 리스트들로 분할이 되었습니다.

 

이제 이 분할된 부분 리스트들을 정렬하면서 다시 합쳐주는 과정(combine)을 진행합니다.

크기가 1인 부분 리스트들을 정렬하여 크기가 2인 부분 리스트로 다시 합칩니다. 이때 합치면서 각 원소들은 자신의 위치로 정렬이 되기 때문에 합쳐진 서브 리스트 들은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모든 서브 리스트들이 하나의 리스트가 될 때까지 반복해 줍니다.

다음 그림은 이 과정을 반복한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마지막에 합치는 과정에서 크기가 8인 정렬된 리스트를 얻을 수 있게됩니다.

 


5. 분할 정복 (Divide and Conquer) 알고리즘

이렇게 하나의 문제를 동일한 유형의 작은 문제들로 분할한 다음, 작은 문제에 대한 결과들을 조합해서 큰 문제들을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이라고 합니다.

 

이 분할 정복은 알고리즘 풀이에 있어서 적지 않게 사용되고 보통 재귀함수로 구현이 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merge sort 또한 재귀함수로 구현을 할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 더 자세히 다룬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CS 지식/자료구조와 알고리즘(Java)] - [Algorithm] Divide-and-Conquer(분할 정복 알고리즘)

 

[Algorithm] Divide-and-Conquer(분할 정복 알고리즘)

이번 시간에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Divide & Conquer Algorith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1. 분할 정복 알고리즘이란?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는 여러 알고리즘의 기본이 되는 핵심 해결 방법으

cdragon.tistory.com

 

6. 시간 복잡도

O(NlogN)

우선 분할 과정에서 리스트의 크기가 1/2씩 감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처음 n개의 리스트에서 분할을 진행하면 n/2크기의 서브 리스트 2개를 얻게 되고 이 상태에서 분할을 다시 진행하게 되면 n/4크기의 서브 리스트 4개를 얻게 됩니다.

 

이러한 분할 연산을 모든 서브 리스트들의 크기가 1이 될 때까지 반복해야 하는데 리스트의 크기가 2라면 1번, 4개라면 2번, 8개라면 3번을 반복 해야 크기가 1인 리스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할 과정에서 O(log2n)의 시간복잡도를 갖게 됩니다.

 

 

 

또한 분할된 상태에서 리스트들을 다시 합칠 때(합병,Merge) 각 element들을 비교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리스트의 크기가 1인 상태일 때 총 n개의 리스트가 있을 것이므로 이때, n번의 비교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후 합쳐진 상태에서 리스트의 크기가 n/4이고 갯수가 4개라면 또 다시 n번의 비교연산이 필요합니다. 결국 각 depth에서 n번 비교 연산을 갖게 되고 이는 O(n)의 시간 복잡도를 요구하게 됩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merge sort의 시간 복잡도는 분할과 합병과정을 합친 O(nlog2n) 의 시간복잡도를 갖게 된다.

 

7. Merge Sort 구현(자바)

merge sort를 구현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In-place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
  2. Out-of-place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

 

여기서는 1번 방법으로 구현을 해 보도록 할 것이다. Out-of-place 방법은 In-place 방법보다 훨씬 쉽기 때문에 혼자서도 구현을 해 볼 수 있을 겁니다.

package sort;

public class MergeSort implements ISort {

       ...
}

 

제일 처음 sort() 메소드를 살펴 보겠습니다. sort()메소드에서 In-place sort가 이루어집니다.(void 리턴)

분할과정을 먼저 살펴봅시다.

@Override
public void sort(int[] arr) {
    //in-place sort
    mergeSort(arr, 0, arr.length - 1);
}

//분할
private void mergeSort(int[] arr, int low, int high) {
       if (low >= high) { //종료 조건
           return;
       }

    int mid = low + ((high - low) / 2);
    mergeSort(arr, low, mid);//왼쪽
    mergeSort(arr, mid + 1, high);//오른쪽

    merge(arr, low, mid, high);
}

sort() : 

초기시작이므로 처음에는 mergeSort()로 배열의 0번부터 끝까지를 index를 인자로 넘겨 분할을 진행합니다.

 

분할(mergeSort())

먼저 분할 과정에서 재귀 호출로 중간값을 찾아 이를 기준으로 큰 부분(오른쪽)과 작은 부분(왼쪽)의 인덱스로 나눠지게 하여 이 index를 기반으로 두 개의 서브 리스트들로 분할 되게 합니다.

 

종료조건은 low가 high보다 크거나 같을 때, 즉 다시 말해서 배열의 크기가 1이 되는 경우 종료하는 것으로 합니다. 종료 시 mergeSort를 호출한 곳으로 돌아갑니다.

 

다음으로 합병을 살펴 봅시다.

//합병
private void merge(int[] arr, int low, int mid, int high) {
    int[] temp = new int[high - low + 1];
    int idx = 0;

    int left = low;
    int right = mid + 1;
    while (left <= mid && right <= high) {
        if (arr[left] <= arr[right]) {
            temp[idx] = arr[left];
            left++;
        } else {
            temp[idx] = arr[right];
            right++;
        }
        idx++
    }

    while (left <= mid) { //왼쪽 리스트에 값이 남아 있는 경우
            temp[idx] = arr[left];
            idx++;
            left++;
        }

    while (right <= high) { //오른쪽 리스트에 값이 남아 있는 경우
        temp[idx] = arr[right];
        idx++;
        right++;
    }

    for (int i = low; i <= high; i++) {
        arr[i] = temp[i - low];
    }
}

합병(merge())

  • 합병에 필요한 보조배열을 temp라는 이름으로 만들어 주고 이 배열의 크기는 합쳐진 배열의 크기와 같기 때문에 (high - low + 1)이다.
  • 보조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하기 위한 idx 변수를 선언한다.
  • left 변수는 low, 즉 분할된 왼쪽 리스트의 시작 index를 의미하고,
    right변수는 mid + 1, 즉 분할된 오른쪽 리스트의 시작 index를 의미하도록 한다.
  • 첫 번째 while문
    • 이 반복문을 통해 분할 정렬 된 리스트의 합병이 될 것이다.
    • ( left <= mid and right <= high ) : left나 right 중 어느 index라도 리스트의 모든 값을 꺼내게 되면 종료하도록 한다.
    • 만약 arr[left] 값이 arr[right]보다 작거나 같으면 보조 배열 temp에 arr[left]값을 넣고 left 인덱스를 1 증가시킨다.
    • 위의 경우가 아닌 경우, 즉 arr[left]값이 arr[right]값보다 크면 보조 배열 temp에 arr[right]값을 넣고 right 인덱스를 1 증가 시킨다
    • 마지막으로 temp 배열의 idx도 증가시킨다.
  • 두 번째 while문
    • 이 반복문에서 왼쪽 리스트에 값이 남아 있는 경우를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left 인덱스가 mid값보다 작으면 아직 왼쪽 서브 리스트에 값이 남아있는 것이기 때문에 남아있는 값들을 temp 배열에 쭉 넣어준다.
  • 세 번째 while문
    • 이 반복문에서는 오른쪽 서브 리스트에 값이 남아 있는 경우를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합한다.
    • right 인덱스가 high값보다 작으면 아직 오른쪽 서브 리스트에 값이 남아있는 것이기 때문에 남아있는 값들을 temp 배열에 쭉 넣어준다.
  • 마지막으로 low 인덱스 부터 high 인덱스까지 temp 배열에 담았던 정렬된 리스트를 다시 arr배열에 담아줌으로써 마무리한다.

 

코드를 봤을 때 이해가 잘 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림과 함께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 초기 배열 상태가 21, 10, 12, 20, 25, 13, 15, 22라고 합시다.
  • 두 개의 리스트의 값들을 처음부터 하나씩 비교하여 두 개의 리스트의 값들 중 더 작은 값을 보조 배열(sorted)에 옮깁니다.
  • 둘 중 하나가 끝날 때까지 이 과정을 되풀이 합니다(재귀적으로).
  • 만약 둘 중에서 하나의 리스트가 먼저 끝나게 되면 나머지 리스트의 값들을 전부 보조 배열로 복사합니다.
  • 보조 배열을 원래의 리스트(arr)로 옮깁니다.

 

8. 합병 정렬의 시간 복잡도

  • 분할 단계
    • 비교 연산과 이동 연산이 수행되지 않는다.
  • 합병 단계
    • 비교 횟수

  • 재귀 호출의 depth (합병 단계의 수)
    • 테이터의 개수 n이 2의 거듭제곱이라고 가정(n=2k)했을 때, n=23의 경우, n=23 -> n=22 -> n=22 -> n=20 순으로 줄어들어 순환 호출의 깊이가 3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일반화하면 n=n=2k 경우, k(k=log₂n)임을 알 수 있다.
    • k=log₂n
  • 각 합병 단계의 비교 연산
    • 크기 1인 부분 배열 2개를 합병하는 데에는 최대 2번의 비교 연산이 필요하고, 부분 배열의 쌍이 4개이므로 24=8번의 비교 연산이 필요하다.
    • 다음 단계에서는 크기 2인 부분 배열 2개를 합병하는 데 최대 4번의 비교 연산이 필요하고, 부분 배열의 쌍이 2개이므로 42=8번의 비교 연산이 필요하다.
    • 마지막 단계에서는 크기 4인 부분 배열 2개를 합병하는 데는 최대 8번의 비교 연산이 필요하고, 부분 배열의 쌍이 1개이므로 8*1=8번의 비교 연산이 필요하다.
    • 이것을 일반화하면 하나의 합병 단계에서는 최대 n번의 비교 연산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 즉, 최대 n번
  • 순환 호출의 깊이 만큼의 합병 단계 * 각 합병 단계의 비교 연산 = nlog₂n
  • 이동 횟수
    • 순환 호출의 깊이 (합병 단계의 수)
      • k=log₂n
    • 각 합병 단계의 이동 연산
      • 임시 배열에 복사했다가 다시 가져와야 되므로 이동 연산은 총 부분 배열에 들어 있는 요소의 개수가 n인 경우, 레코드의 이동이 2n번 발생한다.
    • 순환 호출의 깊이 만큼의 합병 단계 * 각 합병 단계의 이동 연산 = 2nlog₂n
  • T(n) = nlog₂n(비교) + 2nlog₂n(이동) = 3nlog₂n = O(nlog₂n)

 

합병 정렬은 일반적인 경우 다음 시간에 배울 퀵 정렬보다 느리지만 어떠한 상황에서도 정확히 O(NlogN)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인 알고리즘이다.

 

9. 정렬 간 시간복잡도 비교

정렬 방식 Average Worst Memory Stable 여부 In-Place 여부 Run-time(정수 60,000개) 단위: sec
Bubble 정렬 O(n²) O(n²) O(1) O O 7.438
Bubble 정렬 O(n²) O(n²) O(1) X O 10.842
Insertion 정렬 O(n²) O(n²) O(1) O O 22.894
Shell 정렬 O(nlog₂n) O(n²) O(1) X O 0.056
Merge 정렬 O(nlog₂n) O(nlog₂n) O(1) O X 0.014
Quick 정렬 O(nlog₂n) O(n²) O(1) X O 0.034
Heap 정렬 O(nlog₂n) O(nlog₂n) O(1) X O 0.026

 

 

정렬(Sorting)의 설명은 이곳을 참조

Bubble 정렬의 설명은 이곳을 참조

Insertion 정렬의 설명은 이곳을 참조

Shell 정렬의 설명은 이곳을 참조

Merge 정렬의 설명은 이곳을 참조

Quick 정렬의 설명은 이곳을 참조

Heap 정렬은 우선순위 큐에서 사용하는 정렬이므로 해당 포스팅 이곳을 참조

Topological 정렬의 설명은 이곳을 참조

 

참고 자료

.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